목차
네트워크 규모
케냐 Sarafu 네트워크의 대규모 거래 데이터
구성요소 유형
순환 및 비순환 위상 구성요소 식별
시간적 범위
코로나19 긴급 상황 기간 분석
1 서론
디지털 결제 시스템은 경제 과정에 대한 전례 없는 세부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거래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긴급 상황 동안 인도적 지원의 일환으로 배포된 케냐의 커뮤니티 통화인 Sarafu 토큰 네트워크를 조사합니다. 이 연구는 네트워크 과학 방법을 적용하여 거래 패턴을 분석하며, 특히 순환 및 비순환 구성요소의 위상 분류와 통화 유통에서의 역할에 중점을 둡니다.
Sarafu 네트워크는 비영리 단체인 Grassroots Economics가 조직한 디지털 커뮤니티 통화 시스템을 나타냅니다. 분석 기간 동안 이 시스템은 케냐 적십자사와 공동 설계된 긴급 현금 이체 프로그램으로 기능했습니다. 커뮤니티 통화는 인도적 현금 이체를 위해 설계된 지역 바우처 시스템으로, 지역 경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지리적 영역이나 참가자 네트워크로 제한됩니다.
2 방법론
2.1 네트워크 구축
결제 시스템은 방향성, 가중치, 시간적 네트워크로 모델링되며, 노드는 시스템 참가자를 나타내고 타임스탬프가 찍힌 방향성 가중 링크는 거래에 해당합니다. 위상 분석을 위해 거래는 시간적으로 가중 방향 링크로 집계되지만, 시간적 측면은 유통 분석을 위해 보존됩니다.
2.2 구성요소 분석
이 방법론은 강하게 연결된 구성요소(SCC)와 그 계층 구조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구성요소는 순환(방향성 사이클 포함) 또는 비순환(트리 구조)으로 분류됩니다. 이 분류는 다양한 사용자 참여 패턴과 통화 유통 행동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3 귀무 모델
무작위 귀무 모델은 관찰된 위상 패턴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러한 모델은 특정 구성요소 유형의 유행이 유사한 기본 속성을 가진 무작위 네트워크에서 우연히 예상되는 것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기술 프레임워크
3.1 수학적 공식화
네트워크는 $G = (V, E, W, T)$로 공식적으로 정의되며, 여기서 $V$는 정점(사용자) 집합, $E \subseteq V \times V$는 간선(거래) 집합, $W: E \rightarrow \mathbb{R}^+$는 간선에 가중치(거래 금액)를 할당하고, $T: E \rightarrow \mathbb{R}^+$는 타임스탬프를 할당합니다.
구성요소 $C$의 통화 유통은 다음과 같이 측정됩니다:
$$R(C) = \frac{\sum_{e \in E(C)} w(e)}{\max_{v \in V(C)} \sum_{e \in E^{out}(v)} w(e)}$$
여기서 $E(C)$는 구성요소 $C$ 내의 간선을 나타내고, $w(e)$는 간선 $e$의 가중치이며, $E^{out}(v)$는 정점 $v$에서 나가는 간선을 나타냅니다.
3.2 알고리즘 구현
다음 의사 코드는 구성요소 분석 알고리즘을 보여줍니다:
function analyze_currency_network(G):
# 강하게 연결된 구성요소 식별
SCCs = tarjan_strongly_connected_components(G)
# 응축 그래프 구축
DAG = condense_graph(G, SCCs)
# 구성요소 분류
cyclic_components = []
acyclic_components = []
for component in SCCs:
if is_cyclic(component):
cyclic_components.append(component)
else:
acyclic_components.append(component)
# 유통 지표 계산
metrics = {}
for component in cyclic_components + acyclic_components:
metrics[component] = calculate_circulation(component)
return cyclic_components, acyclic_components, metrics
4 실험 결과
4.1 구성요소 분포
분석 결과, 무작위 귀무 모델과 비교하여 강하게 연결된 구성요소의 상당한 존재가 드러났으며, 이는 경제 네트워크에서 사이클의 중요성을 입증합니다. 순환 구성요소는 더 높은 통화 재유통률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통화가 참가자들 사이에서 여러 번 유통된 활발한 거래 커뮤니티를 나타냅니다.
비순환 구성요소에서 가장 중요한 삼중 패턴은 한 번만 활성화된 계정에서 통화를 수집하는 사용자의 존재를 시사하며, 이는 잠재적으로 시스템 오용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한 번만 활성화된 작은 고립된 사용자 그룹도 식별되었으며, 이는 지속적인 참여 없이 시스템만 테스트하는 사용자를 시사합니다.
4.2 시간적 분석
거래 패턴의 시간적 분석은 뚜렷한 유통 역학을 드러냈습니다. 순환 구성요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관된 활동을 유지한 반면, 비순환 구성요소는 산발적인 참여 패턴을 보였습니다. 시간에 따른 구성요소 진화의 시각화는 긴급 상황 기간 동안 사용자 참여 전략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보여주었습니다.
핵심 통찰
- 순환 구성요소는 지속 가능한 통화 유통을 보여줌
- 비순환 패턴은 잠재적 오용 또는 제한된 참여를 드러냄
- 시간적 분석은 사용자 행동 진화에 대한 통찰을 제공함
- 네트워크 위상은 경제적 효과성과 상관관계가 있음
5 독창적 분석
이 연구는 경제 네트워크 분석의 기초 작업을 바탕으로 커뮤니티 통화 시스템에 네트워크 과학을 적용하는 데 있어 상당한 진전을 나타냅니다. Criscione에 의해 개발된 위상적 접근법은 전통적인 경제 지표를 넘어서는 통화 유통 패턴을 이해하기 위한 엄격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은행 시스템(Battiston et al., 2016) 또는 암호화폐 네트워크(Kondor et al., 2014) 연구에 사용되는 기존의 금융 네트워크 분석 접근법과 비교할 때, 이 방법론은 커뮤니티 기반 경제 시스템에 대한 독특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건강한 통화 유통의 지표로서 순환 구성요소의 식별은 주요 경제 지표로서 통화 유통 속도를 강조하는 경제 이론과 일치합니다. 그러나 네트워크 관점은 이 이해에 공간적 및 관계적 차원을 추가합니다. 귀무 모델과 비교한 순환 구성요소의 상당한 존재는 성공적인 커뮤니티 통화가 시스템 생물학(Jeong et al., 2000)에서 연구된 대사 네트워크와 유사하게 자연스럽게 순환 흐름 패턴을 발전시킨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비순환 구성요소 분석을 통한 잠재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용 패턴의 탐지는 통화 시스템 관리에 대한 이 접근법의 실용적 유용성을 입증합니다. 이 능력은 자원 최적화가 중요한 인도적 응용 분야에서 특히 가치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개발된 방법은 금융 사기 탐지(Phua et al., 2010)에 사용되는 기술과 유사하지만 커뮤니티 통화 시스템의 고유한 특성에 맞게 조정된 이상 탐지를 위한 머신 러닝 접근법과 통합될 수 있습니다.
기술적 관점에서, 위상 분석과 시간적 역학의 결합은 시스템을 정적으로 취급하는 많은 네트워크 연구의 주요 한계를 해결합니다. 이 접근법은 사회 시스템의 시간적 네트워크 분석(Holme & Saramäki, 2012)과 방법론적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이러한 기술을 위기 상황에서의 경제 행동에 적용합니다. 향후 작업은 다양한 유형의 경제 관계 간 상호 작용을 포착하기 위해 다층 네트워크 프레임워크를 통합함으로써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6 응용 및 향후 방향
이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론은 특정 사례 연구를 넘어 광범위한 응용 분야를 가집니다:
- 인도적 지원 최적화: 긴급 대응 프로그램에서 통화 유통의 실시간 모니터링
- 지역 경제 발전: 지역 경제적 영향을 극대화하는 커뮤니티 통화 설계
- 금융 포용: 서비스를 충분히 받지 못한 커뮤니티에서의 채택 패턴 이해
- 정책 평가: 통화적 개입과 그 네트워크 효과의 정량적 평가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입 영향 시뮬레이션을 위한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과의 통합
- 통화 관리자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대시보드 개발
- 커뮤니티 통화 네트워크의 문화 간 비교 연구
- 통화 성공 요인 예측 분석을 위한 머신 러닝 응용
7 참고문헌
- Battiston, S., et al. (2016). Complexity theory and financial regulation. Science, 351(6275), 818-819.
- Holme, P., & Saramäki, J. (2012). Temporal networks. Physics reports, 519(3), 97-125.
- Jeong, H., et al. (2000). The large-scale organization of metabolic networks. Nature, 407(6804), 651-654.
- Kondor, D., et al. (2014). Do the rich get richer?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Bitcoin transaction network. PloS one, 9(2), e86197.
- Phua, C., et al. (2010). A comprehensive survey of data mining-based fraud detection research. arXiv preprint arXiv:1009.6119.
- Grassroots Economics. (2023). Community Inclusion Currencies: Design Principles. Retrieved from grassrootsconomics.org